카테고리 없음

대한민국 대통령선거 - 13대 대통령 선거

알. 쓸. 정 2025. 5. 3. 07:00

대한민국 대통령선거 - 13대 대통령 선거

 

📅 1987년 12월 16일,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새로운 장이 열렸습니다. 6월 항쟁의 결과로 대통령 직선제가 부활되며, 국민들은 직접 대통령을 선택하는 권리를 되찾았습니다.


📌 목차

  1. 1987년, 민주주의의 봄
  2. 6·29 선언과 헌법 개정
  3. 주요 후보자와 선거 구도
  4. 선거 결과와 투표율
  5. 선거 포스터와 캠페인 전략
  6. 선거의 역사적 의의
  7. 마무리와 개인적인 소회

1987년, 민주주의의 봄

1987년은 대한민국 민주주의 역사에서 전환점이 된 해였습니다. 6월 항쟁을 통해 국민들은 권위주의 정권에 맞서 싸우며 대통령 직선제를 요구했습니다. 그 결과, 6·29 선언이 발표되었고, 이는 제9차 헌법 개정으로 이어졌습니다. 이 헌법 개정은 대통령을 국민이 직접 선출하는 제도를 도입하며, 16년 만에 직선제가 부활하게 되었습니다.


6·29 선언과 헌법 개정

6·29 선언은 당시 민주정의당 대표 노태우가 발표한 정치개혁 선언으로, 대통령 직선제 도입, 언론 자유 보장, 정치범 석방 등을 포함하고 있었습니다. 이 선언은 국민들의 요구를 수용한 것으로 평가되며, 제9차 헌법 개정으로 이어졌습니다. 개정된 헌법은 대통령의 임기를 5년 단임제로 규정하고, 국민이 직접 대통령을 선출하는 제도를 도입하였습니다. 


주요 후보자와 선거 구도

제13대 대통령 선거에는 총 6명의 후보가 출마하였으며, 주요 후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노태우 (민주정의당)
  • 김영삼 (통일민주당)
  • 김대중 (평화민주당)
  • 김종필 (신민주공화당) 

이 선거는 특히 '양김'이라 불리는 김영삼과 김대중의 단일화 실패로 인해 보수와 진보 진영이 분열된 상태에서 치러졌습니다. 이로 인해 여당 후보인 노태우가 상대적으로 낮은 득표율로 당선되는 결과를 낳았습니다.


선거 결과와 투표율

1987년 12월 16일에 실시된 제13대 대통령 선거의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노태우 (민주정의당): 8,282,738표 (36.6%)
  • 김영삼 (통일민주당): 6,337,581표 (28.0%)
  • 김대중 (평화민주당): 6,113,375표 (27.1%)
  • 김종필 (신민주공화당): 1,823,067표 (8.1%)
  • 신정일 (한주의통일한국당): 46,650표 (0.2%) 

투표율은 89.2%로, 국민들의 높은 정치 참여를 보여주었습니다. 하지만 노태우 후보의 득표율은 역대 대통령 선거 중 가장 낮은 수준이었습니다.


선거 포스터와 캠페인 전략

각 후보들은 다양한 전략으로 유권자들의 표심을 공략했습니다. 특히 선거 포스터는 후보자의 이미지를 부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 노태우 후보는 안정과 안보를 강조하는 메시지를 전달했습니다.
  • 김영삼 후보는 개혁과 청렴성을 강조하며, 흰 한복 차림으로 전통적인 이미지를 부각시켰습니다.
  • 김대중 후보는 변화와 민주화를 강조하며, 젊은 층의 지지를 얻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당시의 선거 포스터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사이버선거역사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선거의 역사적 의의

제13대 대통령 선거는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큰 전환점이었습니다. 16년 만에 부활한 대통령 직선제는 국민들이 직접 국가의 최고 지도자를 선택하는 권리를 회복한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이 선거는 이후의 정치 지형과 민주화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마무리와 개인적인 소회

1987년의 그날을 기억합니다. 거리에는 민주화를 외치는 시민들의 함성이 울려 퍼졌고, 투표소에는 긴 줄이 이어졌습니다. 그날의 열정과 희망이 오늘의 대한민국을 만들었습니다. 이 글을 통해 그 시절의 기억을 되새기며, 앞으로도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기를 바랍니다.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제13대 대통령 선거는 언제 실시되었나요?

A1. 1987년 12월 16일에 실시되었습니다.

Q2. 제13대 대통령 선거의 투표율은 얼마였나요?

A2. 투표율은 89.2%였습니다.

Q3.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된 후보는 누구인가요?

A3. 민주정의당의 노태우 후보가 36.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습니다.

Q4. 김영삼과 김대중 후보의 단일화가 실패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A4. 각자의 정치적 기반과 전략적 이해 차이로 인해 끝내 단일화를 이루지 못했습니다. 이로 인해 표가 분산되어 여당 후보의 당선 가능성을 높였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Q5. 제13대 대통령 선거의 역사적 의미는 무엇인가요?

A5. 16년 만에 부활한 대통령 직선제로, 국민의 직접 투표를 통해 대통령을 선출하는 민주주의 회복의 상징적인 사건이었습니다.


✍️ 에필로그

제13대 대통령 선거는 단순한 선거를 넘어,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새로운 장을 여는 상징적인 사건이었습니다. 당시 거리에서, 방송에서, 집안에서 벌어졌던 수많은 대화들이 지금도 생생하게 기억납니다. 그 열정과 헌신이 있었기에 지금의 자유롭고 열린 사회가 가능했다고 생각합니다. 다음 글에서는 제14대 대통령 선거의 이야기를 이어가 보겠습니다.


태그: 대한민국대통령선거, 제13대대통령선거,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직선제, 6월항쟁, 6·29선언, 민주주의, 정치사

반응형